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검색하고 탐색하세요.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300자 이내로 요약하여 AI에게 어떤 명령어가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명령어를 필터링하세요.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내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openssl pkcs12: PKCS#12 파일 관리
PKCS#12 (Personal Information Exchange Syntax) 파일은 개인 키와 해당 인증서를 하나의 암호화된 파일로 묶어 저장하는 표준 형식입니다. `openssl pkcs12` 명령어는 이러한 PKCS#12 파일을 생성, 파싱,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웹 서버의 SSL/TLS 인증서와 개인 키를 한 번에 관리하거나, 다른 시스템으로 인증서를 가져오거나 내보낼 때 활용됩니다.
openssl-ecparam: 타원 곡선 파라미터 및 키 관리
openssl-ecparam 명령어는 OpenSSL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타원 곡선(EC) 암호화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생성, 조작 및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지정된 타원 곡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타원 곡선 개인 키를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openssl-enc: 파일 및 데이터 암호화/복호화
openssl-enc 명령어는 OpenSSL 툴킷의 일부로,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파일이나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AES, DES, Triple DES 등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지원하며, 비밀번호 기반 키 파생 함수(PBKDF)를 통해 안전하게 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주로 민감한 파일의 보안을 강화하거나 전송 시 데이터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openssl-rand: 의사 난수 바이트 생성
openssl-rand 명령어는 OpenSS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의사 난수(pseudo-random) 바이트를 생성합니다. 이 난수는 암호화 키, 솔트(salt), 난스(nonce) 등 다양한 보안 관련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엔트로피 풀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엔트로피 소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openssl-rsa: RSA 키 관리
openssl-rsa 명령어는 RSA 공개/개인 키를 생성, 변환,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OpenSSL 툴킷의 일부로, 키 파일의 형식 변환, 암호화/복호화, 공개 키 추출 등 다양한 RSA 키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arted: 디스크 파티션 관리 도구 (MBR & GPT)
parted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디스크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명령줄 기반 도구입니다. MBR과 GPT 파티션 테이블을 모두 지원하여, 특히 2TB 이상의 대용량 디스크를 관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partprobe: 파티션 테이블 변경 사항 알림
partprobe 명령어는 커널에게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변경 사항을 즉시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fdisk`, `gdisk` 등으로 파티션을 생성, 삭제 또는 수정했을 때 시스템이 변경 사항을 인식하도록 돕습니다.
passwd: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passwd 명령어는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 사용자는 자신의 비밀번호만 변경할 수 있으며, root 사용자는 모든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계정 잠금/잠금 해제 등의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erf: 리눅스 성능 분석 도구
perf는 Linux 커널에 내장된 강력한 성능 모니터링 및 분석 도구입니다. CPU 사용량, 캐시 미스, 시스템 호출 등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이벤트를 추적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의 성능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커널 레벨에서 작동하여 매우 상세하고 정확한 성능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poweroff: 시스템 전원 끄기 가이드
poweroff 명령어는 시스템을 안전하게 종료하고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halt'와 유사하지만, 전원을 끄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시스템 관리자가 서버를 종료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quota: 디스크 사용량 할당량 확인
quota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자 또는 그룹의 디스크 사용량과 할당량(쿼터) 제한을 보고합니다. 시스템 관리자가 설정한 디스크 사용 제한을 사용자가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readelf: ELF 파일 정보 표시
readelf 명령어는 ELF(Executable and Linkable Format) 형식의 실행 파일, 공유 라이브러리, 오브젝트 파일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분석하고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정보에는 헤더, 섹션, 심볼 테이블, 동적 링크 정보 등이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