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검색하고 탐색하세요.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300자 이내로 요약하여 AI에게 어떤 명령어가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명령어를 필터링하세요.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내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csh: C 셸 실행 및 스크립트
csh(C Shell)는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명령줄 인터프리터이자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C 언어와 유사한 문법을 제공하여 프로그래머들에게 친숙하며, 명령 히스토리, 별칭(alias), 작업 제어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주로 대화형 셸이나 셸 스크립트 실행에 사용됩니다.
csplit: 파일 내용을 기준으로 분할
csplit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특정 패턴(정규 표현식)이나 줄 번호를 기준으로 여러 개의 작은 파일로 분할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용량 로그 파일이나 소스 코드를 특정 섹션별로 나누어 분석하거나 관리할 때 유용합니다.
curl: URL 기반 데이터 전송/테스트 만능 툴
URL을 사용해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강력한 커맨드라인 도구입니다. HTTP/HTTPS, FTP/FTPS, SFT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API 테스트, 파일 업/다운로드, 트러블슈팅에 널리 쓰입니다.
cut: 텍스트 파일에서 특정 문자 또는 필드 추출
`cut`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이나 표준 입력에서 각 줄의 특정 부분(문자, 바이트, 필드)을 추출하여 표준 출력으로 내보내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데이터 처리 및 보고서 생성 시 특정 열을 선택적으로 추출할 때 유용합니다.
date 명령어 가이드: 날짜와 시간 표시 및 설정
`date` 명령어는 시스템의 현재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거나,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쉘 스크립트에서 타임스탬프를 생성하거나 로그 파일에 시간을 기록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date`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법을 익혀보세요.
dd: 데이터 복사 및 변환 (디스크 복제/USB 제작)
파일을 블록 단위로 복사하거나 변환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부팅 USB 만들기, 디스크 백업(이미지 덤프), 파일 생성 등에 사용되지만, 출력 대상을 잘못 지정하면 데이터를 모두 날릴 수 있어 'Disk Destroyer'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ddrescue: 손상된 미디어에서 데이터 복구
ddrescue는 손상된 하드 드라이브, CD-ROM, DVD 등에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오류가 발생한 섹터를 건너뛰고 가능한 한 많은 데이터를 복사하여 손상된 미디어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다른 위치로 옮기는 데 사용됩니다.
df: 디스크 공간 사용량 확인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보고합니다. 전체 공간, 사용된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그리고 사용률을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표시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디스크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diff: 두 파일의 차이점 비교 (Unified 형식)
diff 명령어는 두 파일 또는 디렉토리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출력합니다. 특히 `-u` (Unified) 옵션은 변경된 줄과 그 주변의 맥락을 함께 보여주는 통합 형식으로 결과를 표시하여, 코드 변경 사항 검토나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변경 이력을 파악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 형식은 어떤 부분이 추가, 삭제 또는 수정되었는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diff3: 세 파일 비교 및 병합
diff3 명령어는 세 개의 파일을 줄 단위로 비교하여 차이점을 식별하고, 필요한 경우 병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충돌을 해결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dig: DNS 정보 조회
dig(Domain Information Groper)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서버를 쿼리하여 도메인 이름, IP 주소, 메일 교환기 레코드 등 다양한 DNS 정보를 조회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명령줄 도구입니다. 네트워크 문제 해결 및 DNS 레코드 확인에 필수적입니다.
dirname 명령어 가이드
`dirname` 명령어는 주어진 파일 경로에서 파일 이름을 제외한 디렉터리 경로만 추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쉘 스크립트에서 파일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른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참조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