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검색하고 탐색하세요.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300자 이내로 요약하여 AI에게 어떤 명령어가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명령어를 필터링하세요.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내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logname: 실제 로그인 사용자 이름 출력
logname 명령어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처음 로그인했을 때 사용한 사용자 이름(login name)을 출력합니다. `whoami`와 달리, `su`나 `sudo`로 권한이 변경된 후에도 원래 로그인한 사용자 이름을 보여줍니다.
ls 명령어 완전 정복
`ls` 명령어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출력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명령어입니다. 이 대화형 가이드를 통해 `ls`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과 활용법을 마스터하세요.
lsattr: 파일 속성 보기
lsattr 명령어는 Linux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에 설정된 특수 속성(attribute)을 나열합니다. 이 속성들은 일반적인 파일 권한과는 별개로 파일의 동작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주로 chattr 명령어를 통해 설정됩니다.
lsblk: 블록 장치 정보 출력 가이드
lsblk 명령어는 시스템의 모든 블록 장치(하드 디스크, SSD, USB 드라이브 등)의 정보를 트리 형태로 보여줍니다. 장치의 이름, 크기, 마운트 지점, 유형 등 물리적인 디스크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lsof: 열린 파일 목록 보기
lsof(list open files)는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모든 파일과 해당 파일을 열고 있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강력한 명령줄 유틸리티입니다. 일반 파일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소켓, 파이프, 디바이스 등 시스템에서 '파일'로 간주되는 모든 것을 포함하여 상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make: 빌드 자동화 도구
make 명령어는 소스 코드 컴파일, 라이브러리 링크 등 복잡한 빌드 과정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Makefile이라는 설정 파일을 기반으로 파일 간의 의존성을 관리하고, 변경된 부분만 효율적으로 재빌드하여 시간을 절약합니다.
man 명령어 가이드: 리눅스 매뉴얼 페이지 접근
`man` 명령어(manual의 약자)는 Linux 및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명령어, 함수, 파일 형식, 커널 인터페이스 등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온라인 매뉴얼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템의 기능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 소스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man` 명령어의 사용법과 매뉴얼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meld: 시각적 파일/디렉토리 비교 및 병합 도구
meld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시각적으로 비교하고 병합하는 데 사용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도구입니다. 코드 리뷰, 패치 적용 전후 확인, 버전 관리 충돌 해결에 매우 유용합니다.
mkdir 명령어 가이드: 새 디렉토리 생성
`mkdir` 명령어(make directory)는 Linux 및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새로운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일 시스템을 정리하고 조직화하는 데 필수적인 명령어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mkdir` 명령어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유용한 옵션들을 익혀보세요.
mkfs: 파일 시스템 생성 도구
mkfs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파일 시스템 유형(ext4, XFS, FAT 등)을 지원합니다.
mmv: 여러 파일을 패턴으로 이동/복사/링크하기
mmv 명령어는 여러 파일을 특정 패턴을 기준으로 이동, 복사, 링크, 또는 이름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정규 표현식과 유사한 와일드카드 패턴 매칭을 지원하여 대량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
more: 텍스트 파일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보기
more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화면 단위로 끊어서 보여주는 '페이지네이터(Paginator)'입니다. 파일의 내용이 한 화면에 다 표시되지 않을 때, 사용자가 한 페이지씩 이동하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