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 cksum

cksum: 파일 체크섬 계산 및 검증

cksum 명령어는 파일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체크섬과 바이트 수를 계산하여 출력합니다. 이 값은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거나 전송된 파일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개요

cksum은 지정된 파일의 CRC 체크섬과 바이트 수를 계산하여 표준 출력으로 내보냅니다. 이 값은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되며, 주로 파일 전송 후 무결성 검증에 활용됩니다.

주요 특징

  • CRC32 체크섬 계산
  • 파일 바이트 수 출력
  • 파일 무결성 검증
  • 표준 입력 처리 가능

주요 옵션

cksum 명령어는 매우 간단하며, 파일 경로를 인자로 받습니다. 대부분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CRC32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별도의 알고리즘 선택 옵션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기본 인자

정보/도움말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cksum`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단일 파일 체크섬 계산

cksum myfile.txt

지정된 파일의 CRC 체크섬과 바이트 수를 출력합니다.

여러 파일 체크섬 계산

cksum file1.txt file2.txt

여러 파일에 대해 각각 체크섬을 계산하여 출력합니다.

표준 입력에서 체크섬 계산

echo "Hello Linux" | cksum

파이프(|)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의 체크섬을 계산합니다.

체크섬을 파일에 저장

cksum myfile.txt > myfile.cksum

계산된 체크섬 결과를 파일로 리다이렉션하여 저장합니다.

저장된 체크섬과 비교하여 무결성 검증

cksum myfile.txt | diff - myfile.cksum

이전에 저장된 체크섬 파일과 현재 파일의 체크섬을 비교하여 파일의 변경 여부를 확인합니다.

팁 & 주의사항

cksum은 파일 무결성 검증에 유용하지만, 보안 목적으로는 더 강력한 해싱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cksum과 다른 해싱 도구 비교

  • cksum (CRC32): 주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인 오류(손상)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암호학적 보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md5sum, sha1sum, sha256sum: 파일의 의도적인 변조를 감지하는 데 더 강력하며, 암호학적 보안 목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충돌 저항성이 cksum보다 훨씬 높습니다.

파일 내용 변경 감지

cksum 값은 파일의 내용이 단 1바이트라도 변경되면 달라지므로, 파일이 수정되었는지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백업 파일의 무결성 확인이나 다운로드한 파일의 손상 여부 확인에 유용합니다.



동일 카테고리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