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host 명령어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가장 간단한 DNS 조회 도구입니다. `dig`처럼 상세한 정보를 섹션별로 나누어 출력하는 대신, 필요한 핵심 정보만을 깔끔하게 보여줍니다. 이 덕분에 스크립트에서 DNS 정보를 처리하거나, 사람이 빠르게 정보를 확인해야 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nslookup`이 구식 도구로 여겨지는 반면, `host`는 `dig`와 함께 현대 리눅스 시스템에서 권장되는 DNS 도구입니다.
주요 특징
host 명령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NS 질의 결과를 간결하고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합니다.
- 도메인에 대한 A, AAAA, MX, NS 등의 레코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역변환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 스크립트에서 사용하기 용이합니다.
host vs dig
host는 dig와 동일한 DNS 조회 기능을 제공하지만, 출력 형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host: 간결하고 핵심적인 정보만을 출력합니다. 자동화 스크립트나 빠른 확인에 적합합니다.
- dig: 매우 상세하고 구조화된 정보를 출력합니다. DNS 서버의 동작을 분석하거나 복잡한 문제 해결에 적합합니다.
주요 옵션
host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통해 조회 방식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1) 질의 옵션
2) 출력 제어
3) 도움말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host`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host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 예시를 통해 기능을 익혀보세요.
도메인의 A 레코드 조회
host google.com
`google.com`의 IPv4 주소를 조회합니다. `A` 레코드는 기본적으로 조회됩니다.
메일 서버(MX) 레코드 조회
host -t MX naver.com
`naver.com`의 메일 서버 정보를 조회합니다.
IP 주소 역방향 조회
host 8.8.8.8
구글 DNS 서버 IP 주소인 `8.8.8.8`에 대한 도메인 이름을 역변환합니다.
특정 DNS 서버로 조회
host google.com 8.8.8.8
구글 DNS 서버(`8.8.8.8`)를 사용하여 `google.com`의 IP 주소를 조회합니다.
도메인의 모든 레코드 조회
host -a google.com
`-a` 옵션을 사용하여 `google.com`에 대한 모든 레코드 정보를 조회합니다.
설치
host는 `dnsutils` 또는 `bind-utils` 패키지의 일부입니다. 대부분의 시스템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없을 경우 다음 명령어를 사용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Debian/Ubuntu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dnsutils
RHEL/CentOS/Fedora
sudo dnf install -y bind-utils
Arch Linux
sudo pacman -S --needed bind
팁 & 주의사항
host 명령어 사용 시 유의할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팁
- host는 `dig`에 비해 출력이 훨씬 간단하기 때문에 스크립트에서 DNS 정보가 필요한 경우 `host`를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 만약 `host` 명령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시스템의 `/etc/resolv.conf` 파일에 설정된 DNS 서버가 올바른지 확인해야 합니다.
- 비대화형 모드만 지원하므로, 여러 질의를 연속적으로 실행할 때는 스크립트를 작성하거나 `dig`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