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ls -l은 파일 시스템의 항목들을 자세히 보여주며, 각 항목의 속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돕습니다. 이는 보안 설정, 디스크 사용량, 최근 변경 사항 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요 특징
ls -l 옵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파일 및 디렉토리의 상세 퍼미션 확인
- 파일 소유자 및 그룹 정보 표시
- 파일 크기 및 최종 수정 시간 확인
- 하드 링크 수 표시
주요 옵션
ls 명령어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옵션들입니다. 특히 -l 옵션과 조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유용합니다.
표시/형식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ls`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ls -l 옵션을 활용한 다양한 사용 예시입니다.
현재 디렉토리의 상세 목록 보기
ls -l
가장 기본적인 ls -l 사용법으로,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 정보를 상세하게 출력합니다.
사람 친화적인 크기로 상세 목록 보기
ls -lh
-h 옵션을 추가하여 파일 크기를 K, M, G 단위로 표시하여 가독성을 높입니다.
숨김 파일을 포함한 상세 목록 보기
ls -la
-a 옵션을 추가하여 점(.)으로 시작하는 숨김 파일과 디렉토리도 함께 상세하게 출력합니다.
특정 디렉토리의 상세 목록 보기
ls -l /var/log
지정된 경로의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상세하게 출력합니다.
최근 수정된 파일 순으로 정렬하여 상세 목록 보기
ls -lt
-t 옵션을 추가하여 가장 최근에 수정된 파일부터 순서대로 출력합니다.
팁 & 주의사항
ls -l의 출력 결과는 여러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각 필드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s -l 출력 필드 설명
ls -l 명령의 각 열이 나타내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문자: 파일 타입 (d: 디렉토리, -: 일반 파일, l: 심볼릭 링크, c: 문자 장치, b: 블록 장치, p: 파이프, s: 소켓)
- 다음 9문자: 파일 퍼미션 (소유자/그룹/기타 사용자 순으로 읽기(r)/쓰기(w)/실행(x) 권한)
- 세 번째 필드: 하드 링크 수 (디렉토리의 경우 포함된 서브디렉토리 수 + 2)
- 네 번째 필드: 파일 소유자 이름
- 다섯 번째 필드: 파일 그룹 이름
- 여섯 번째 필드: 파일 크기 (바이트 단위, -h 옵션 사용 시 가독성 향상)
- 일곱 번째 필드: 최종 수정 월, 일, 시간 (또는 연도)
- 마지막 필드: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활용 팁
ls -l은 다른 명령과 조합하여 강력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 ls -l의 출력 결과는 파이프(|)를 통해 `grep`, `awk`, `sort` 등 다른 명령과 조합하여 특정 정보를 필터링하거나 정렬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디렉토리의 총 블록 사용량을 확인하려면 `ls -l` 출력의 첫 줄에 나오는 `total` 값을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