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 lsblk

lsblk: 블록 장치 정보 출력 가이드

lsblk 명령어는 시스템의 모든 블록 장치(하드 디스크, SSD, USB 드라이브 등)의 정보를 트리 형태로 보여줍니다. 장치의 이름, 크기, 마운트 지점, 유형 등 물리적인 디스크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개요

lsblk(list block devices)는 블록 장치(하드 디스크, SSD, USB, CD-ROM 등) 및 이와 관련된 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 시스템과 논리적 볼륨을 포함한 모든 블록 장치를 계층적인 트리 구조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므로, 시스템에 연결된 저장 장치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df`가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보여주는 것과 달리, `lsblk`는 장치 자체의 물리적 구조를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주요 특징

lsblk 명령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블록 장치와 파티션을 트리 구조로 출력합니다.
  • 장치의 이름(NAME), 크기(SIZE), 마운트 지점(MOUNTPOINT)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 파티션 테이블 종류, 회전식/비회전식 장치 여부 등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스크립트에서 사용하기 쉬운 JSON 형식의 출력도 지원합니다.

주요 옵션

lsblk 명령어의 주요 옵션을 목적에 따라 그룹화했습니다.

1) 출력 형식 제어

2) 필터링 및 정렬

3) 도움말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lsblk`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lsblk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 예시를 통해 기능을 익혀보세요.

기본 블록 장치 정보 출력

lsblk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으로, 모든 블록 장치를 트리 구조로 보여줍니다.

파일 시스템 정보와 함께 출력

lsblk -f

장치의 파일 시스템(FSTYPE)과 UUID, LABEL 정보를 추가로 출력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특정 정보만 출력

lsblk -o NAME,SIZE,MOUNTPOINT

`-o` 옵션을 사용하여 장치 이름, 크기, 마운트 지점만 출력합니다.

루트 디렉토리가 있는 장치 찾기

lsblk -o NAME,SIZE,MOUNTPOINT | grep '/'

루트 디렉토리(`MOUNTPOINT=/`)가 마운트된 장치 정보를 확인합니다.

스크립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JSON 출력

lsblk -J

명령어 결과를 JSON 형식으로 출력하여 스크립트에서 파싱하기 용이하게 만듭니다.

팁 & 주의사항

lsblk 명령어 사용 시 유의할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 lsblk는 `df`와 함께 사용하여 디스크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lsblk`로 물리적 장치 구조를 확인하고, `df`로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 lsblk의 출력 결과는 `sudo` 권한 없이도 볼 수 있으므로, 권한 문제로 인해 정보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적습니다.
  • 가상 환경에서는 가상 디스크(`vda`, `sda` 등)의 정보를 보여주며, 실제 물리적 디스크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 명령어

기능적으로 유사하거나 함께 자주쓰이는 명령어들입니다.


동일 카테고리 명령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