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vi는 텍스트 파일을 효율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도구로, 특히 서버 환경에서 GUI 없이 작업할 때 유용합니다. 학습 곡선이 있지만, 숙달되면 매우 빠른 편집이 가능합니다.
주요 특징
- 모드 기반 편집 (명령 모드, 삽입 모드, 라인 모드 등)
- 강력한 검색 및 교체 기능
- 매크로 및 스크립트 지원
- 시스템 자원 효율적 사용
주요 옵션
vi 명령어 실행 시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옵션들입니다.
파일 열기 및 모드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vi`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vi 편집기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예시들입니다. vi는 모드 기반이므로, 명령 모드에서 삽입 모드로 전환(i, a, o 등)하고, 편집 후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와(:) 저장 및 종료합니다.
새 파일 생성 또는 기존 파일 열기
vi new_file.txt
지정된 이름의 파일을 열거나, 파일이 없으면 새로 생성합니다.
읽기 전용 모드로 파일 열기
vi -R important_config.conf
파일 내용을 수정할 수 없는 읽기 전용 모드로 파일을 엽니다.
파일을 열고 특정 라인으로 이동
vi +50 script.sh
파일을 열면서 커서를 50번째 라인으로 이동합니다.
파일 저장 및 종료
vi my_document.txt
# (내용 편집 후)
# ESC 키 누른 후
:wq
파일을 편집한 후, 명령 모드에서 `:wq`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저장하지 않고 종료
vi temp_file.log
# (내용 편집 후)
# ESC 키 누른 후
:q!
파일 내용을 변경했더라도 저장하지 않고 강제로 종료합니다.
팁 & 주의사항
vi는 강력하지만, 모드 기반의 특성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다음 팁들을 활용하여 vi 사용에 익숙해지세요.
vi의 핵심: 모드 이해
vi는 크게 두 가지 모드로 작동합니다.
- 명령 모드 (Command Mode): vi를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이 모드입니다. 파일 탐색, 텍스트 삭제/복사/붙여넣기, 명령 실행 등 편집 명령을 수행합니다. 키 입력이 바로 명령으로 인식됩니다.
- 삽입 모드 (Insert Mode): 텍스트를 직접 입력하는 모드입니다. 명령 모드에서 'i' (insert), 'a' (append), 'o' (open line) 등을 눌러 진입합니다. 'ESC' 키를 눌러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갑니다.
자주 사용하는 기본 명령 (명령 모드에서)
- i: 현재 커서 위치에서 삽입 모드로 전환
- a: 현재 커서 다음 위치에서 삽입 모드로 전환
- o: 현재 라인 아래에 새 라인을 추가하고 삽입 모드로 전환
- dd: 현재 라인 삭제
- yy: 현재 라인 복사
- p: 복사/삭제된 내용 붙여넣기
- /: 텍스트 검색 (예: `/search_term`)
- :w: 파일 저장
- :q: 종료 (변경 사항이 있으면 경고)
- :wq: 저장 후 종료
- :q!: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vi 학습을 위한 팁
대부분의 리눅스 시스템에는 `vimtutor`라는 vi/vim 튜토리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vimtutor`를 실행하면 대화형으로 vi의 기본 사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는 vi에 익숙해지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