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검색하고 탐색하세요.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300자 이내로 요약하여 AI에게 어떤 명령어가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명령어를 필터링하세요.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내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GParted: 그래픽 디스크 파티션 관리 도구
GParted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반의 디스크 파티션 관리 도구입니다. `parted`의 강력한 기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마우스로 파티션을 손쉽게 생성, 삭제, 크기 조정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도 안전하고 직관적으로 디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halt: 시스템 즉시 종료 가이드
halt는 시스템의 모든 CPU 기능을 중단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시스템이 안전하게 종료된 상태에서 전원만 켜져 있는 상태로 만듭니다. 보통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하기 위해 'poweroff'나 'shutdown -h' 명령을 대신 사용합니다.
history 명령어 가이드: 쉘 명령어 이력 조회 및 관리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이전에 터미널에서 실행했던 명령어들의 목록(이력)을 보여줍니다. 이는 과거에 사용했던 명령어를 쉽게 찾아 재실행하거나, 어떤 작업을 수행했는지 기억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history`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이력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옵션들을 익혀보세요.
init: 시스템 초기화 및 프로세스 관리
init은 전통적인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PID 1)로,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부모 프로세스 역할을 합니다. 시스템의 시작(부팅)과 종료를 담당하며, 런레벨(runlevel)을 통해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제어합니다.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systemd로 대체되는 추세입니다.
iostat: CPU 및 디스크 I/O 통계 보고
iostat는 시스템의 CPU 사용률과 장치(디스크, 파티션)의 입출력 통계를 실시간 또는 지정된 간격으로 보고하는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성능 병목 현상을 진단하고 I/O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Journalctl 완전 정복
systemd 로그를 조회하고 관리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journalctl`의 다양한 옵션과 활용법을 익혀보세요.
man 명령어 가이드: 리눅스 매뉴얼 페이지 접근
`man` 명령어(manual의 약자)는 Linux 및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명령어, 함수, 파일 형식, 커널 인터페이스 등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온라인 매뉴얼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템의 기능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정보 소스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man` 명령어의 사용법과 매뉴얼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mkfs: 파일 시스템 생성 도구
mkfs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파일 시스템 유형(ext4, XFS, FAT 등)을 지원합니다.
mount: 파일 시스템 마운트 및 마운트 해제
mount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게 만듭니다. 하드 디스크, USB 드라이브, CD-ROM 등 다양한 저장 장치를 시스템의 파일 계층 구조에 통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openssl: 암호화 및 보안 도구
OpenSSL은 SSL/TLS 프로토콜 구현 및 다양한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오픈소스 툴킷입니다. 인증서 생성, 키 관리, 데이터 암호화/복호화 등 보안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openssl-ecparam: 타원 곡선 파라미터 및 키 관리
openssl-ecparam 명령어는 OpenSSL 라이브러리의 일부로, 타원 곡선(EC) 암호화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생성, 조작 및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지정된 타원 곡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타원 곡선 개인 키를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openssl-rand: 의사 난수 바이트 생성
openssl-rand 명령어는 OpenSS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의사 난수(pseudo-random) 바이트를 생성합니다. 이 난수는 암호화 키, 솔트(salt), 난스(nonce) 등 다양한 보안 관련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엔트로피 풀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엔트로피 소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