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검색하고 탐색하세요.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300자 이내로 요약하여 AI에게 어떤 명령어가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명령어를 필터링하세요.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내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history 명령어 가이드: 쉘 명령어 이력 조회 및 관리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이전에 터미널에서 실행했던 명령어들의 목록(이력)을 보여줍니다. 이는 과거에 사용했던 명령어를 쉽게 찾아 재실행하거나, 어떤 작업을 수행했는지 기억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history`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이력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옵션들을 익혀보세요.
hostname: 시스템 호스트 이름 관리
hostname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표시하거나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이름은 네트워크에서 시스템을 식별하고 통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nit: 시스템 초기화 및 프로세스 관리
init은 전통적인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PID 1)로,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부모 프로세스 역할을 합니다. 시스템의 시작(부팅)과 종료를 담당하며, 런레벨(runlevel)을 통해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제어합니다.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systemd로 대체되는 추세입니다.
insmod: 리눅스 커널 모듈 삽입
insmod 명령어는 리눅스 커널에 로드 가능한 모듈(LKM)을 삽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ko` 확장자를 가진 컴파일된 모듈 파일을 커널에 로드하여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활성화할 때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모듈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하지 않으므로, 의존성이 있는 모듈은 수동으로 먼저 로드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modprob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iostat: CPU 및 디스크 I/O 통계 보고
iostat는 시스템의 CPU 사용률과 장치(디스크, 파티션)의 입출력 통계를 실시간 또는 지정된 간격으로 보고하는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성능 병목 현상을 진단하고 I/O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iotop: 디스크 I/O 사용량 모니터링
iotop은 Linux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별 디스크 I/O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도구입니다. 'top' 명령어와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CPU 및 메모리 사용량 대신 디스크 읽기/쓰기 활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시스템의 I/O 병목 현상을 진단하고 어떤 프로세스가 디스크를 많이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journalctl: 시스템 로그 실시간 확인
journalctl은 systemd 저널에서 생성된 로그를 조회하고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f` 옵션을 사용하면 실시간으로 새로운 로그 항목을 추적하여 시스템 문제를 진단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tail -f` 명령어와 유사하지만, systemd 저널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 강력한 필터링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journalctl -xe: 시스템 로그 상세 분석 및 문제 진단
`journalctl -xe`는 `systemd` 저널의 최신 로그 항목들을 상세한 설명과 함께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오류, 경고 메시지 또는 특정 서비스의 문제를 진단할 때 매우 유용하며, 문제 해결에 필요한 추가적인 컨텍스트와 정보를 제공합니다.
last: 시스템 로그인 및 재부팅 기록 확인
last 명령어는 `/var/log/wtmp` 파일을 분석하여 시스템에 로그인했던 사용자, 터미널, 로그인 시간, 로그아웃 시간, 그리고 시스템 재부팅 기록 등을 역순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사용 이력을 추적하고 보안 감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lastb: 실패한 로그인 시도 기록 보기
lastb 명령어는 시스템에 기록된 실패한 로그인 시도(bad login attempts) 목록을 보여줍니다. 주로 `/var/log/btmp` 파일을 읽어와 누가 언제 어떤 터미널에서 로그인에 실패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 보안 감사에 유용합니다.
ldd: 공유 라이브러리 의존성 확인
ldd 명령어는 동적으로 링크된 실행 파일이나 공유 라이브러리가 필요로 하는 공유 라이브러리(shared libraries) 목록을 출력합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어떤 라이브러리에 의존하는지, 그리고 해당 라이브러리들이 시스템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login: 시스템 로그인
login 명령어는 사용자 세션을 시작하고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나 콘솔에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 과정을 거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