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split은 입력 파일을 지정된 크기(바이트) 또는 줄 수에 따라 여러 개의 출력 파일로 나눕니다. 기본적으로 출력 파일명은 'xaa', 'xab', 'xac' 등으로 생성되며, 접미사 옵션을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 파일을 지정된 바이트 크기로 분할
- 파일을 지정된 줄 수로 분할
- 출력 파일명 접미사 사용자 정의 (숫자, 길이, 추가 접미사)
- 분할된 파일을 쉽게 재결합 가능
주요 옵션
split 명령어의 주요 옵션들은 파일을 분할하는 기준과 출력 파일의 명명 규칙을 제어합니다.
분할 기준
출력 파일명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split`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split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 예시를 통해 파일을 효과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파일을 10MB 단위로 분할
split -b 10M large_file.txt output_prefix_
large_file.txt를 10MB 크기의 파일들로 분할하고, 'output_prefix_'로 시작하는 파일명(예: output_prefix_aa, output_prefix_ab)을 생성합니다.
파일을 1000줄 단위로 분할
split -l 1000 large_log.txt log_part_
large_log.txt를 각 파일당 1000줄씩 분할하고, 'log_part_'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생성합니다.
숫자 접미사와 함께 500MB 단위로 분할
split -b 500M -d video.mp4 video_part_
video.mp4를 500MB 크기로 분할하며, 파일명에 숫자 접미사(00, 01 등)를 사용합니다. 접미사 길이는 기본 2입니다.
접미사 길이 3으로 1GB 단위 분할
split -b 1G -d -a 3 archive.tar archive_part_
archive.tar를 1GB 크기로 분할하고, 접미사 길이를 3으로 지정하여 'archive_part_000', 'archive_part_001' 등으로 생성합니다.
분할된 파일 재결합
cat output_prefix_* > large_file.txt
이전에 'output_prefix_'로 시작하는 분할된 파일들을 원래의 large_file.txt로 재결합합니다.
팁 & 주의사항
split 명령어 사용 시 유용한 팁과 주의할 점입니다.
파일 재결합
분할된 파일들은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쉽게 재결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at prefix_* > original_file`과 같이 사용합니다. 이때 와일드카드(`*`) 순서가 중요하므로, `ls`로 확인하여 올바른 순서로 결합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재결합 시 `cat` 명령어 사용
- 와일드카드(`*`) 사용 시 파일 순서 유의 (알파벳/숫자 순서로 정렬됨)
디스크 공간
파일을 분할하면 원본 파일과 분할된 파일들이 동시에 존재하므로, 충분한 디스크 공간이 필요합니다. 분할 작업 후 원본 파일을 삭제할 계획이라면 미리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 분할 작업 시 원본 파일 크기의 두 배 이상 디스크 공간 필요
- 작업 완료 후 불필요한 파일 정리
접미사 길이
분할될 파일의 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면 `-a` 옵션을 사용하여 접미사 길이를 충분히 길게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100개 이상의 파일이 생성될 경우 `-a 3`을 사용하면 '000'부터 '999'까지의 접미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분할 파일 수에 따라 `-a` 옵션으로 접미사 길이 조절
- 기본 접미사 길이(2)는 최대 676개 파일(aa-zz) 생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