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 가이드

다양한 리눅스 명령어를 검색하고 탐색하세요.

AI에게 물어보기

해결하고자 하는 상황을 300자 이내로 요약하여 AI에게 어떤 명령어가 필요한지 물어보세요.

자유롭게 검색하기

원하는 카테고리를 클릭하여 명령어를 필터링하세요.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내용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iptables-restore

iptables-restore: iptables 규칙 복원

iptables-restore 명령어는 이전에 `iptables-save` 명령어로 저장된 iptables(IPv4) 또는 ip6tables(IPv6) 규칙을 시스템에 복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재부팅 후에도 방화벽 규칙을 유지하거나, 백업된 규칙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iptables-save

iptables-save: iptables 방화벽 규칙 저장

iptables-save는 현재 커널에 로드된 IPv4 iptables 방화벽 규칙을 표준 출력으로 덤프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주로 현재 설정된 방화벽 규칙을 파일로 저장하여 백업하거나, 시스템 재부팅 시 규칙을 복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iptables-restore` 명령어와 함께 사용되어 방화벽 규칙의 영속성을 관리합니다.

자세히 보기

java

java: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

자바 가상 머신(JVM)을 사용하여 컴파일된 자바 애플리케이션(.jar 파일 또는 .class 파일)을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양한 옵션을 통해 메모리 설정, 클래스 경로 지정, 시스템 속성 정의 등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jobs

jobs: 백그라운드 작업 관리

jobs 명령어는 현재 셸(shell)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작업 번호, 상태, 명령어 등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여러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join

join: 두 파일의 공통 필드 병합

join 명령어는 두 개의 정렬된 텍스트 파일에서 지정된 공통 필드를 기반으로 라인을 병합하여 표준 출력으로 내보냅니다. 데이터베이스의 JOIN 연산과 유사하게 작동하며, 각 파일의 해당 라인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라인을 생성합니다.

자세히 보기

journalctl

Journalctl 완전 정복

systemd 로그를 조회하고 관리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journalctl`의 다양한 옵션과 활용법을 익혀보세요.

자세히 보기

jq

jq: JSON 데이터 처리

jq는 명령줄에서 JSON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변환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JSON 데이터를 필터링, 슬라이싱, 매핑, 변환하는 데 사용되며, 복잡한 JSON 구조에서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파이프(|)를 통해 다른 명령과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자세히 보기

kill

kill 명령어 가이드: 프로세스 종료

`kill` 명령어는 Linux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내어 해당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프로세스를 종료(kill)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다른 유형의 시그널을 보내어 프로세스의 동작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kill`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과 다양한 시그널을 활용하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자세히 보기

killall

killall: 이름으로 프로세스 종료

killall 명령어는 지정된 이름의 모든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냅니다. 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의 모든 인스턴스를 한 번에 종료할 때 유용합니다. 기본적으로 SIGTERM 시그널을 보내지만, 다른 시그널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kubectl

kubectl: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관리

kubectl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클러스터 리소스를 검사 및 관리하며, 로그를 확인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모든 작업을 제어하는 핵심 인터페이스입니다.

자세히 보기

less

less: 텍스트 파일 내용을 자유롭게 탐색하기

less 명령어는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보여주며, `more`와 달리 파일의 내용을 앞뒤로 자유롭게 탐색할 수 있는 강력한 페이지네이터(Paginator)입니다. 대용량 파일이나 로그 파일을 효율적으로 읽을 때 유용합니다.

자세히 보기

ln

ln 명령어 가이드: 링크 파일 생성 (하드 링크 및 심볼릭 링크)

`ln` 명령어(link)는 Linux 및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링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링크는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바로가기' 또는 '별칭'과 같은 역할을 하며,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소프트 링크)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ln`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법과 링크 유형의 차이를 익혀보세요.

자세히 보기
이전 페이지 7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