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mkswap은 디스크 파티션이나 파일을 스왑 영역으로 초기화하여 시스템이 가상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이 과정은 스왑 영역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이후 swapon 명령어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합니다. 스왑 영역을 생성하기 전에 대상 디바이스나 파일에 중요한 데이터가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주요 특징
- 디스크 파티션 또는 파일에 스왑 영역 생성
- 시스템 메모리 부족 시 가상 메모리로 활용
- 기존 데이터는 모두 삭제됨
- swapon 명령어로 활성화 필요
주요 옵션
mkswap 명령어 사용 시 스왑 영역 설정 방식을 제어하는 주요 옵션들입니다.
스왑 영역 설정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mkswap`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mkswap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왑 영역을 설정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입니다.
디스크 파티션에 스왑 영역 생성
mkswap /dev/sdb1
/dev/sdb1 파티션을 스왑 영역으로 초기화합니다. 이 파티션의 모든 기존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불량 블록 검사 후 스왑 영역 생성
mkswap -c /dev/sdb2
/dev/sdb2 파티션에 스왑 영역을 생성하기 전에 불량 블록을 검사합니다.
레이블을 지정하여 스왑 영역 생성
mkswap -L my_swap /dev/sdc1
/dev/sdc1 파티션에 'my_swap'이라는 레이블을 가진 스왑 영역을 생성합니다.
스왑 파일 초기화
mkswap /swapfile
미리 생성된 '/swapfile' 파일을 스왑 영역으로 초기화합니다. (스왑 파일 생성 방법은 '팁 & 주의사항' 섹션 참조)
팁 & 주의사항
mkswap 사용 시 시스템 안정성과 데이터 손실 방지를 위해 다음 사항들을 유의해야 합니다.
주요 팁
- **데이터 손실 경고**: mkswap은 대상 디바이스나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므로, 실행 전에 반드시 백업하거나 빈 공간인지 확인하십시오.
- **스왑 활성화**: mkswap으로 스왑 영역을 생성한 후에는 `swapon` 명령어를 사용하여 활성화해야 합니다. 예: `swapon /dev/sdb1` 또는 `swapon /swapfile`
- **영구 활성화**: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스왑 영역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하려면 `/etc/fstab` 파일에 해당 스왑 영역을 등록해야 합니다. 예: `/dev/sdb1 none swap sw 0 0` 또는 `/swapfile none swap sw 0 0`
- **불량 블록 검사**: `-c` 옵션을 사용하여 스왑 영역 생성 전에 불량 블록을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특히 오래된 디스크에서 유용합니다.
스왑 파일 생성 및 초기화 전체 과정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M count=2048
sudo chmod 600 /swapfile
sudo mkswap /swapfile
sudo swapon /swapfile
디스크 파티션 대신 파일을 스왑 영역으로 사용하려면, 먼저 `dd` 명령어로 파일을 생성하고 `chmod`로 권한을 설정한 후 `mkswap`을 실행해야 합니다. 아래는 2GB 스왑 파일을 생성하는 예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