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키지 및 시스템 관리 > mkfs

mkfs: 파일 시스템 생성 도구

mkfs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파일 시스템 유형(ext4, XFS, FAT 등)을 지원합니다.

개요

mkfs(make file system)는 디스크 파티션이나 볼륨에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파티션을 생성한 후(예: `fdisk` 또는 `parted` 사용), 해당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포맷해야만 파일과 디렉토리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mkfs`는 실제로는 `mkfs.ext4`, `mkfs.xfs`와 같은 특정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전용 명령어를 호출하는 프론트엔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kfs -t ext4`와 `mkfs.ext4`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주요 특징

mkfs 명령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양한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원합니다.
  • 새로운 파티션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를 생성합니다.
  • 실수로 중요한 데이터를 덮어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 `fdisk`나 `parted`로 파티션을 나눈 후, 반드시 `mkfs`로 포맷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파일 시스템 종류

mkfs가 지원하는 주요 파일 시스템 종류입니다.

  • ext4: 가장 널리 사용되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입니다.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 XFS: 대용량 파일 시스템에 특화된 고성능 파일 시스템입니다. CentOS/RHEL 7 이후의 기본 파일 시스템입니다.
  • FAT: USB 드라이브와 같은 이동식 장치에 주로 사용됩니다. 리눅스, 윈도우, macOS 등 다양한 운영 체제와 호환됩니다.

주요 옵션

mkfs 명령어는 `-t` 옵션을 통해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고, 그 외의 옵션은 특정 파일 시스템 전용 명령어(`mkfs.ext4` 등)의 옵션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1) 실행 옵션

생성된 명령어:

명령어를 조합해 보세요.

설명:

`mkfs`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 옵션들을 조합하여 AI와 함께 가상으로 명령어를 실행해 보세요.

사용 예시

mkfs 명령어의 다양한 사용 예시를 통해 기능을 익혀보세요. **모든 예시는 대상 파티션의 데이터를 삭제하므로, 실제 실행 시 주의해야 합니다.**

ext4 파일 시스템 생성

sudo mkfs -t ext4 /dev/sdb1

`/dev/sdb1` 파티션에 가장 일반적인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XFS 파일 시스템 생성

sudo mkfs.xfs /dev/sdb1

대용량 디스크에 적합한 `X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CentOS/RHEL에서는 기본 포맷으로 사용됩니다.

FAT32 파일 시스템 생성

sudo mkfs.fat -F 32 /dev/sdb1

USB와 같은 이동식 저장 장치에 호환성이 좋은 `FAT32`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파일 시스템 생성과 동시에 레이블 지정

sudo mkfs.ext4 -L "Data_Partition" /dev/sdb1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면서 `LABEL`을 지정하여, 나중에 파티션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설치

mkfs는 `util-linux` 패키지의 일부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 `mkfs.xfs`와 같은 특정 파일 시스템 전용 도구는 별도의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XFS 도구 설치 (Debian/Ubuntu)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y xfsprogs

XFS 도구 설치 (RHEL/CentOS)

sudo dnf install -y xfsprogs

팁 & 주의사항

mkfs 명령어 사용 시 유의할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 mkfs 명령은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 루트 권한 없이 실행하면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합니다.
  • mkfs를 실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fdisk -l` 또는 `lsblk` 명령어로 포맷할 파티션의 장치 이름(예: `/dev/sdb1`)을 정확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잘못된 파티션을 포맷하면 데이터 손실로 이어집니다.
  •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 후에는 `mount` 명령을 사용하여 디렉토리에 파티션을 마운트해야 사용 가능합니다.

관련 명령어

기능적으로 유사하거나 함께 자주쓰이는 명령어들입니다.


동일 카테고리 명령어